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China Grass@en
모시풀@ko
Ramie@en
Chinese Silk Plant@en
nature:Boehmeria (nature:Boehmeria)  관련 생물종 
nature:Urticaceae (nature:Urticaceae)  관련 생물종 
nature:Urticales (nature:Urtic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원줄기는 둥글다, 줄기는 녹색을 띠며 퍼진 잔털이 많다
꽃색 황백색, 암꽃은 연녹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100~200
학명 Boehmeria nivea (L. ) Gaudich.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남모시@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한산의 모시짜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2011년에 등재되었다. 한산 지역의 모시짜기는 모시풀이라는 자연 재료를 이용하여 전통 베틀에서 전통 방법에 따라 모시 옷감을 짜는 기술을 말한다. 그러나 모시짜기는 단지 모시를 짜는 기술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모시를 짜는 이들이 전체 제작 과정에 즐겁게 참여함으로써 공동체의 레크리에이션의 형태를 띤다. 한산 모시짜기는 여성이 이끄는 가내 작업의 형태로 전수되며, 여성은 고유 기술을 딸이나 며느리에게 전수하는 전통을 특징으로 한다. 또 모시짜기는 마을의 정해진 구역에서 이웃이 함께 모여 일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문화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 이후 소득창출의 주 원천이었던 모시산업이 1970년대 산업화와 더불어 모시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함에 따라 생산자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산 모시짜기 전통 기술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전통의 전승을 위해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현재에 와서 한산 모시짜기 전승은 명인과 전수조교 간의 견습제와 모시짜기를 하는 일반 가정에서 어머니와 딸에게 전수하는 식으로 지속되고 있다. 충청남도 서천군에서는 한산모시관을 운영하여 한산모시의 보급 및 홍보에 힘쓰고 있다.
관련음식_설명 모시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모시의 잎을 말린 뒤 가루내어 떡이나 칼국수를 해 먹거나 양념 등에 활용한다. 모시에는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루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모시가루로 빚은 칼국수를 섭취하면 혈중 중성지방을 어느 정도 낮춰 줄 수 있다.
관련역사_설명 모시의 원산지는 동아시아이며 중국에서는 주나라 때부터 재배하여 제마 및 제지의 기술이 발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에 충청도 사람이 중국 중부지방에서 모시 뿌리를 가져다가 충청남도에서 재배하였다고 하며 고려 경종 때에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처음 모시를 재배하였다고도 한다. 그 당시 중국 조정에 세공으로 바친 고려저마포는 품질이 우량하여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광복 이후 생산이 증가하여 1996년에는 3만 3, 000정보에 3, 700톤을 생산하였으나 그 뒤 점차 감소하여 1975년에는 600여 정보에서 1, 000톤 정도를 생산하였다.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등지가 주산지이며 특히 충청남도의 한산은 모시의 주요 재배지로서 세모시가 유명하며, 이곳의 모시를 한산모시라고 하여 특상품으로 여긴다.
관련산업_설명 모시풀을 함유한 주류의 제조방법,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방법, 모시풀을 이용한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 샴푸,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암 또는 신경퇴행성질화의 예방 및 치료용 약 조성물, 모시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모시풀의 뿌리를 저마근이라고 한다. 혈열을 내리므로 각혈, 토혈, 코피,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응용된다. 민간에서는 단방으로 장출혈, 자궁출혈에 활용한다. 임신 중 하혈 및 복통에도 단미나 가미약재로 효력을 얻는다. 열을 내리므로 방광염에 소변 색깔이 붉고 소변 보는 횟수가 잣으며 잘 누지 못하는 증상에 이뇨작용을 나타낸다. 열독으로 인해 피부가 헐어 발진이 생긴 것을 치료하고 뱀에 물린데 효력을 보인다.
관련종_설명 큰멋쟁이나비Vanessa indica의 애벌레가 쐐기풀, 모시풀류, 담쟁이덩굴등을 먹는다. 모시풀방패벌레Cysteochia fieberi가 모시풀에 기생하며 열매에 붙는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fruitDesc 타원형, 길이 1mm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Boehmeria
no_relatedTextileDesc 모시는 순백색이고 비단 같은 광택이 나며 내수력과 내구력이 강하여 여름철 옷감으로 많이 사용되며 정장, 군복, 상복을 비롯해 일반인을 위한 다양한 의류를 만드는 데 쓰인다. 표백한 순백색 모시의 섬세함과 단아함은 옷을 지었을 때 우아한 느낌이 살아 있어 고급 의류에 적합하다. 제작과정은 크게 재배와 수확, 태모시 만들기,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굿 만들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 표백 순으로 이루어진다. 모시를 재배하여 수확한 모시를 훑고 겉껍질을 벗겨 태모시를 만든 다음, 하루쯤 물에 담가 말린 후 이를 다시 물에 적셔 실의 올을 하나하나 쪼개는 모시째기를 한다. 쪼갠 모시올을 이어 실을 만드는데 이과정을 모시삼기 라고 한다. 모시삼기의 과정은 특히 중요한데 실을 섬세하면서도 균일하게 만들어야 아름다운 옷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을 체에 일정한 크기로 담아 노끈은로 열십자로 묶어 모시굿을 만든다. 모시날기는 실의 굵이에 의해 한 폭에 몇 올이 들어갈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모시매기인 풀 먹이기 과정을 거친 후 베틀을 이용해 모시를 짜며 마지막으로 모시표백은 물에 적셔 햇빛에 여러 번 말려야 비로소 흰 모시가 된다. 모시짜기는 통풍이 되지 않은 움집에서 짜는데 이는 습도가 낮으면 끊어지기 쉬운 모시의 속성 때문이다.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writer

일반특징 높이 1~2m로 줄기는 둥글고 녹색이며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잎자루와 마찬가지로 퍼진 잔털이 많다. 잎은 마주나고 둥근 달걀 모양이며 길이 10~15cm, 폭 6~12cm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있어 흰빛을 띠는 특징이 있다. 잎자루는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고 잔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화서는 잎자루보다 짧고 길이 5~10cm이며 수꽃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수꽃은 화피 4장과 수술 4개로 되어 있고 암꽃은 통 모양의 화피에 싸이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 모양이며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고 길이는 1mm 정도이다.
no_relatedDyeDesc 모시풀잎을 메탄올로 추출, 농축하여 견직물에 매염 후 염착농도, 표면색, 염색견뢰도를 측정한 결과 모시풀잎 농축액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색소임이 확인되었다. 견직물의 염색 시, 염재농도는 100%, 염색온도는 80℃, 염색시간은 50분이 적당하다. 매염제의 농도를 변화시켜 염색한 염색물의 염착농도는 무매염보다 매염시 증가하였으며 선, 후매염법에서는 철매염시 크게 나타났고 특히 후매염시 철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염색물의 표면색은 명도의 경우 무매염보다 매염 시 어두워졌고 특히 후매염시 철이 가장 어둡게 나타났으며 채도는 선매염시 철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른 염색견뢰도 측정결과, 드라이클리닝, 세탁견뢰도는 4, 5급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땀 견뢰도도 4급 이상을 보였으며, 일광견뢰도는 무매염보다 매염 시 향상되었다.
no_christenerName (L.) Gaudich.
no_specificEpithet nivea
잎종류
no_reviewer
label Boehmeria nivea (L. ) Gaudich.@en
Ramie@en
Chinese Silk Plant@en
모시풀@ko
China Gras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