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ナナカマド@ja
Mountoin Ash@en
mountain-ash@en
마가목@ko
nature:Sorbus (nature:Sorbus)  관련 생물종 
nature:Rosaceae (nature:Ros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osales (nature:Ros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황갈색
꽃색 흰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6~8m
잎자루 false
학명 Sorbus commixta Hedlund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은빛마가목@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는 악령을 물리치는 나무로 대문앞이나 집의 입구에 많이 심었다. 열매는 겨울철 새들의 먹이로 이용되었는데, 새들이 단풍나무나, 참나무 가지가 갈라지는 부분에 배설한 후 발아해 착생식물로 자라는 마가목은 '날아다니는 마가목' (Flying Rowan)으로 불리며 악령이나 악귀를 쫓는데 효험이 훨씬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관련음식_설명 어린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관련산업_설명 지팡이의 재료로 쓰임
관련약재_설명 수피와 과실은 민간약제로 신경통, 기침, 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 껍질과 열매를 보비생진(補脾生津), 청폐지해(淸肺止咳)에 이용 <동의보감>에 "중풍과 어혈을 낫게 하고 늙은이와 쇠약한 것을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허리 힘, 다리 맥을 세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관련관상_설명 정원, 공원에 관상수로 식재
관련종_설명 작은잎의 수가 아홉이나 열개이고 잎 뒤면이 녹색이면 제주도,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마가목이고, 달린 작은잎이 13개 이상이고 잎 뒤면이 흰색이 돌면 중부지방 이북에서 자라는 당마가목이다. 울릉도 성인봉 정상 부근에서 자라는 마가목도 당마가목 이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Sorbus
생태특징 실생은 10월-이듬해 3월에 파종하고 과육제거 후 층적저장이 좋으며, 발아율은 40%, 13만립/ℓ이다.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 발근처리로는 IBA 50-100ppm에 5-6시간 침지하고 뿌리가 약하므로 실용성은 없다.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잎밑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가을에 황적색으로 단풍이 든다. 꽃은 복산방화서이며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꽃받침, 꽃잎이 각 5개이며 수술은 20개이다. 열매는 9-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하는 둥근 이과로서 지름은 5-8mm이다. 줄기는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no_christenerName Hedlund
no_specificEpithet commixta
no_reviewer
label mountain-ash@en
Mountoin Ash@en
마가목@ko
ナナカマド@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