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Japanese Rose@en
Turkestan Rose@en
해당화@ko
nature:Rosa (nature:Rosa)  관련 생물종 
nature:Rosaceae (nature:Ros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osales (nature:Ros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줄기에는 가시와 자모 및 융털이 있다
꽃색 홍자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150
학명 Rosa rugosa Thunb.
가시유무 true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전주, 서울, 거제, 정읍지방에서 불리던 <해당화타령>의 노래가사가 채집된바 있다. 다음은 정읍지방의 것이다. '명사십리 해당화야/네 꽃 진다 설워 마라/너는 명년 춘삼월에/황산 청산 꽃이 피면/오는 한량 가는 한량/너를 잡고 희롱치만/이 내몸은 죽어지면/한번 살기 어렸드라/육신은 진퇴되고/ 영혼은 구른같이/흔터지니 그 아니/ 불쌍하나. . . . . 운운'
관련음식_설명 열매가 빨갛게 되면 먹고 술을 담그기도 한다. 뿌리와 열매를 달인 물을 마시면 당뇨치료, 혈액순환에 좋다
관련역사_설명 속명 Rosa 는 장미를 뜻하는 그리스어 Rhodon과 붉다는 의미의 켈트어 rhodd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종소명인 rugosa는 주름이 있다는 뜻으로 잎 표면에 주름이 있는 해당화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
관련산업_설명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성 육체적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해당화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항당뇨와 항산화 효능이 있는 해당화잎차 제조방법, 해당화 식초 및 그 제조방법, 해당화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해당화의 꽃봉오리를 메괴화라고 한다. 방향성이 높아서 간위 기능의 감퇴로 인한 흉복부가 그들먹하고 아픈 증상을 해소한다. 여성의 생리가 일정치 않거나 생리 전에 아픈 증상에 응용되며 타박상으로 어혈이 생긴 것을 풀어준다.
관련관상_설명 원예적으로 장미대목으로도 쓰였는데 지금은 대목전용으로 개량된 품종도 있다. 가시가 있어 경계수나 생울타리용으로 이용할 만 하다. 주로 모래땅에 자라지만 산간지역이 아니라면 어디서든 잘 자란다. 열매는 비타민 C가 많아 sea tomato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련종_설명 거품벌레Aphrophora costalis, 검정날개거위벌레Apoderus erythroogaster, 경희애매미충Aguriahana triangularis, 구리풍뎅이Anomala cuprea, 긴꼬리진딧물Longicaudus trirhodus, 꽃무지Cetonia pilifera,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댕댕이덩굴털거위벌레Involvulus plumbeus, 등얼룩풍뎅이Blitopertha orientalis, 띠띤애매미충Naratettix koreanus,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뿔밀깍지벌레Ceroplastes ceriferus,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양딸기수염진딧물Rhodobium porosum, 어깨무늬풍뎅이Blitopertha conspurcata,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 이세리아깍지벌레lcerya purchasi 장미등에잎벌Arge pagana pagana, 장미애매미충Edwardsiana rosae, 장미흰깍지벌레Aulacaspis rosae
관련향신료_설명 해당화의 향취성분으로 분석된 게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anyl acetate), 시트로넬롤(Citronellol), 페네칠알코올(Phenethyl alcohol)에 인공합성물질을 첨가하여 해당화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조성물이 개발되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Ramification
no_fruitDesc 편구형, 적색으로 익으며 광택이 있다
관련생물종














no_seedDesc 수과는 4mm로 털이 없다
잎_정단부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7962
http://lod.nl.go.kr/resource/KMU000047285
http://lod.nl.go.kr/resource/KMO199412767
http://lod.nl.go.kr/resource/KMU00001433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15676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0049
http://lod.nl.go.kr/resource/KJU200004836
http://lod.nl.go.kr/resource/KMU000109157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0127
http://lod.nl.go.kr/resource/KMU00003855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2202
http://lod.nl.go.kr/resource/KMO199412766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Rosa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있다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writer

일반특징 높이 1.5m 정도로 자라는 줄기는 회백색으로 가시와 털이 많이 난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기수 우상복엽(작은 잎이 홀수로 달리는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5~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작은 잎은 타원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고 표면에 주름이 많으며 광택이 있다. 잎의 질이 두껍고 뒷면에 털이 많아서 희게 보인다. 턱잎은 잎자루와 함께 붙어 달리며 줄기를 감싼다. 꽃은 5~7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1~3개가 달린다.5개의 꽃잎과 꽃받침조각이 있고 수술이 많다. 열매는 둥글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광택이 있어 아름답다.
no_relatedDyeDesc 염색은 뿌리의 껍질을 이용한다. 철매염으로 보라색을 얻을 수 있다.
no_christenerName Thunb.
no_specificEpithet rugosa
잎종류
no_reviewer
label Turkestan Rose@en
해당화@ko
Rosa rugosa Thunb.@en
Japanese Ros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