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찔레꽃@ko
Baby Rose@en
nature:Rosa (nature:Rosa)  관련 생물종 
nature:Rosaceae (nature:Ros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osales (nature:Ros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회갈색
꽃색 흰색
흰색 또는 연한붉은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20~30
2m
잎자루 true
학명 Rosa multiflora sp. Thunb.
Rosa multiflora Thunb.
가시유무 true
true
지방명 찔레나무@ko
질누나무@ko
새버나무@ko
설널레나무@ko
질꾸나무@ko
가시나무@ko
들장미@ko
설널네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찔레순 따먹기에서 발달한 어린이들의 놀이중 '찔레꾸지'가 있는데, 냇가의 돌을 주워다가 아궁이를 만들고 그 위에 돌을 둥글게 쌓아 지붕을 만든 다음 마른 땔감을 구해 불을 지핀다. 불이 타는 동안 돌멩이가 달아올라 들썩거리면 이를 무너뜨리고 풀을 깐다음 그사이에 다른 아이들이 따 온 찔레 순을 놓고 다시 풀을 꼭꼭 덮은 다음 고운 진흙을 덮는다. 잠시 후 구멍을 뚫고 깨끗한 물을 부으면 찔레 순은 수증기에 야들거리게 쪄진다.
찔레꽃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원의 지배를 받던 고려 시대에 '찔레'라는 처녀가 공녀로 끌려갔다가 10년이 지나 고향에 돌아왔다. 그러나 가족들이 아무도 없어 동생 찾아 산골짜기를 헤매다 죽었다. 그 뒤 산골짜기에서는 '찔레'처럼 순박하고 하얀 꽃이 피어났고 사람들은 이를 찔레꽃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찔레꽃은 보통 초여름에 피었다가 여름이 끝날 무렵 빨갛게 열매가 익는다. '찔레꽃머리'는 그런 찔레꽃이 처음 피기 시작할 무렵을 말한다. '찔레꽃머리'에서는 '머리'는 '처음'을 뜻한다.
관련음식_설명 봄에 새싹과 꽃잎을 채취하여 생식한다.
여름에 줄기나 잎과 꽃을 차로 이용한다, 뿌리에 독이 있으므로 봄과 여름철에 삶아 말려서 사용한다. 열매를 삶아 즙을 내어 먹는다. 봄에 어린 줄기 껍질을 벗겨서 구황작물로 먹었다. 봄에 새순을 꺾어서 먹거나 여름에 열매가 빨갛게 익으면 먹는다. 꽃은 술을 담가 먹는다. 꽃을 따다가 단오날 밀가루와 버물러서 개떡을 해 먹는다. 이른 봄 부드러운 잎을 채취하여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나무에서 나오는 진(수지)를 간식으로 먹는다. 열매를 닭백숙에 넣어서 먹는다.
관련역사_설명 찔레와 관련한 설화. 옛날 고려시대 몽고에 바치는 조공으로 소년 500명이 함께 팔려갔는데 그중에 찔레라는 이름의 착하고 아름다운 소녀가 포함되어 있었다. 찔레를 데려간 주인은 지체도 높고 마음씨도 좋아 큰 고생하지 않고 지냈는데, 10년이 지나 고향에 두고온 부모와 개구쟁이 동생을 잊을 수 없어 상심의 나날을 보냈다. 주인의 배려로 하인이 고려로 가서 가족을 찿으려 했지만 찾지못해, 찔레가 직접찾아 나섰다. 방방곡곡을 다녔지만 찾을 길이 없어 오랑캐 나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결심한 찔레는 동생의 이름을 부르며 죽었다. 그 뒤 이 가련한 소녀가 가족을 찿아 헤매던 골짜기마다 소녀의 마음은 흰 꽃이 되고 수없이 흘린 피눈물은 열매가 되었으며 동생을 부르던 목소리는 아름다운 향기가 되어 온 산천을에 피어났다.
속명Rosa는 장미를 뜻하는 그리스어 Rhodon과 붉다는 의미의 켈트어 rhodd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종소명mulfiflora는 꽃이 여러 개 달린다는 뜻이라고 한다. 찔레나무라는 우리 이름은 줄기에 가시가 많아 찔리는 나무라는 뜻일 것이다.
관련산업_설명 항산화 미백 효능이 있는 건강 기능성 강화 찔레꽃 차 제조방법, 천연아토피연고,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변비에 개선효과를 갖는 식물발효 효소액 및 이를 사용한 기능성 염료, 치아 치료제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열매를 청서(淸暑), 해독(解毒), 화위(和胃), 활혈(活血), 이관절(利關節), 항노쇠(抗老衰), 안신강지(安神强志), 이수제열(利水除熱)에 이용한다.
찔레나무의 열매를 영실이라 한다. 노인이 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와 전신이 부었을 때 쓰고 불면증, 건망증 및 꿈이 많고 쉬 피로하고 성 기능이 감퇴하였을 때도 유효하다. 종기, 약창에 활용된다.
관련관상_설명 찔레꽃은 일반 가정에서 울타리용으로도 쓰기도 하지만 병해에도 강하고 생육이 강건해 장미를 재배할 때 장미의 병충해 저항성을 키우기 위해 접곡용 대목으로 쓰기도 한다. 정원에 심으면 6월에 피우는 하얀 꽃도 예쁘지만 겨우 내내 빨간 열매를 볼 수 있게 해 준다. 가정에서는 정원용으로 기른다. 물 빠짐이 되고 햇볕이 좀 드는 곳이면 어디서든 잘 자란다. 몇 그루를 모아심기 해두면 꽃, 잎, 열매까지 연중 내내 관상할 수 있다. 씨앗으로 번식하려면 종자를 따다 노천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뿌린다. 뿌리 주변에 나오는 맹아를 포기로 하여 포기나누기를 하며 당올해 새로 나온 줄기를 삽목하여 증식하기도 한다. 다소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므로 전국 어디서든 기를 수 있다.
생울타리나 관상용으로 식재
관련종_설명 찔레나무는 우리나라의 들장미라고 할 수 있으며, 찔레 이외에도 명사십리 바닷가에 곱게 핀 해당화, 붉은 인가목, 흰인가목, 생열귀나무 등이 있다.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 사과잎가는나방Caloptilia zachrysa, 옆검은산꽃하늘소Anastrangalia sequensi, 왜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japonica, 육점박이범하늘소Chlorophorus simillimus, 장미등에잎벌Arge pagana paana, 장미흰깍지벌레Aulacaspis rosae, 장미흰잎깍지벌레Aulacaspis rosae, 찔레수염진딧물Sitobion ibarae, 흰독나방Euproctis similis
관련향신료_설명 꽃은 향기가 좋아 향수 원료로 쓸 수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Ramification
no_fruitDesc 둥글고 붉게 익는다 지름 8mm정도
관련생물종













no_seedDesc 길이 3mm정도이며 백색을 띠며 털이 있다
잎_정단부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6891
http://lod.nl.go.kr/resource/KMO000016586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3343
http://lod.nl.go.kr/resource/KMO200221879
http://lod.nl.go.kr/resource/KMU000042725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5524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242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5968
http://lod.nl.go.kr/resource/KMO198405480
http://lod.nl.go.kr/resource/KJU20040082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9543
http://lod.nl.go.kr/resource/KMU000076899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0980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5527
http://lod.nl.go.kr/resource/KMO200604768
http://lod.nl.go.kr/resource/KMO201248714
http://lod.nl.go.kr/resource/KMO00004304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4488
http://lod.nl.go.kr/resource/KMU00010636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71879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5593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4312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3735
http://lod.nl.go.kr/resource/KMU000120100
http://lod.nl.go.kr/resource/KMO200811724
http://lod.nl.go.kr/resource/KMO000036885
http://lod.nl.go.kr/resource/KMO198307438
http://lod.nl.go.kr/resource/KMO20083709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6887
http://lod.nl.go.kr/resource/KMU000116573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3329
http://lod.nl.go.kr/resource/KMU000123851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539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7766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0060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5922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3338
http://lod.nl.go.kr/resource/KMO201224250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6320
http://lod.nl.go.kr/resource/KMU00004701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2615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5526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552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3137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3716
http://lod.nl.go.kr/resource/KMO000060502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Rosa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있다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writer


일반특징 높이 2m이고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가지 끝부분이 밑으로 처지고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2~3cm, 너비 1~2cm의 타원 모양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으로 작은 잎 5~9개로 되어 있다. 잎의 뒷면에는 작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원추화서로 피며 햇가지의 끝부분에 달린다. 꽃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조각은 피침 모양으로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장과이고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길이 8mm의 둥근 모양이다.
no_relatedDyeDesc 찔레꽃은 갈색계통의 염료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식물이다. 빨간 열매를 이용하면 옅은 갈색을 얻을 수 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여름보다 가을에 채집한 식물이 더 좋다.
no_christenerName Thunb.
no_specificEpithet multiflora
잎종류
no_reviewer
label Baby Rose@en
찔레꽃@ko
Rosa multiflora Thunb.@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