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개옻나무@ko
ヤマウルシ@ja
Japanese Sumac@en
nature:Rhus (nature:Rhus)  관련 생물종 
nature:Anacardiaceae (nature:Anacardiaceae)  관련 생물종 
nature:Sapindales (nature:Sapind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붉은색, 갈색
꽃색 녹황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차례
높이 7m
잎자루 false
학명 Rhus tricocarpa Miq.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털옷나무@ko
새옷나무@ko
개옷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역사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경덕왕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선종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세조
관련문화_설명 낙랑, 신라 등 고래로부터 병기, 관곽, 옷장, 밥상등에 광택을 입히고 부식을 방지하는데 사용.
관련음식_설명 옻껍질을 요리하는데 넣어 위장병에 효험이 있는 보양식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관련역사_설명 신라 35대 경덕왕때 부터 칠전 또는 식기방이란 관직이 존재했고, 고려 선종 5년(서기 1088년)에는 옻나무에 부과하는 세금제도가 있었고, 이조 실록에는 세조12년 (서기1467년) 옻나무 공급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옻나무를 자르고 심는 수량을 조사 보고하도록 했던 기록 존재.
관련산업_설명 군함용 도료, 해저 전선용 절연도료, 각종 병기(기관총, 대포, 포탄, 탄약상)에도 옻을 칠했다.
관련약재_설명 개옻나무 추출물(칠액)은 기생충을 없애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어 장하(아랫배에 단단한 덩어리가 생긴병증), 어혈, 기생충으로 인한 복통 등에 약용한다
관련종_설명 옻나무는 중국에서 수입되어 높이가 20미터까지 자라는 교목인 반면, 개옻나무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소교목(7-8미터)이다. 붉나무와 유사한 잎모양을 지니고 있으나 붉나무잎자루에 달린 날개가 없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Rhus
잎밑
관련생물종






타입
잎_정단부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며 소엽은 13-17개이며 타원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길이와 폭은 각 4-10cm × 3-5cm이고, 뒷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과 2-3 개의 톱니가 있는 것이 섞여있으며 작은잎자루가 짧고 엽축은 붉은빛이 돌고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며, 지름은 6mm이고 자모로 덮여있으며 9월 초-11월 말에 성숙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4월 말-6월 중순에 개화하는데 녹황색의 작은 꽃이 조밀하게 달리고 원뿔모양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갈색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조각과 꽃잎 및 수술이 각각 5개이고 암꽃은 5개의 작은 수술과 3개의 암술머리가 있는 1개의 1실 씨방이 있다. 줄기는 붉은빛이 돌고, 가지를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no_relatedDyeDesc 머리 염색약재
foaf_depiction
no_christenerName Miq.
no_specificEpithet tricocarpa
no_reviewer
label 개옻나무@ko
ヤマウルシ@ja
Japanese Sumac@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