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진달래@ko
Korean Rhodo-dendron@en
ゲンカイツツジ@ja
nature:Rhododendron (nature:Rhododendron)  관련 생물종 
nature:Ericaceae (nature:Ericaceae)  관련 생물종 
nature:Ericales (nature:Eric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회색
꽃색 붉은색, 연한붉은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차례
높이 2~3m
잎자루 true
학명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참꽃@ko
진달내@ko
진달래나무@ko
타퀘진달래@ko
참꽃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김소월의 '진달래꽃', 박팔양의 '진달래' 등 다양한 시의 소재로 이용되었다. 진달래 꽃을 꺾어 만든 꽃방망이를 여의화장(如意花杖)이라고 했는데 이를 서생의 머리를 치면 과거에 붙고, 기생의 등을 치면 정을 준다고 믿으며 놀이를 하였다.
관련음식_설명 꽃잎을 그냥 먹거나 화전을 만들어 먹고, 술(두견주)을 빚어 먹음. 두견주는 담근지 100일 만에 마시면 좋다고 해서 백일주라고도 한다. 찹쌀밥과 진달래꽃을 겹겹이 넣어 빚기도 하며 다된 청주에 진달래 꽃을 한달 동안 담가 두기도 한다. 이술은 조금씩 잘 마시면 진정과 안정에 도움이 되는데 한때 좋다는 소문 때문에 전국의 진달래가 다 마를 뻔한적도 있었다.
관련역사_설명 중국 촉나라의 망제 두우가 전쟁에 패하고 나라를 잃고 죽어서 두견새가 되어 매년 봄이 오면 피 눈물을 흘리며 온 산천을 날아다니는데 이 눈물이 떨어져 핀 꽃이 바로 진달래 꽃이라는 것이다. 두견새의 입속 색깔이 진달래처럼 붉어서 두견화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꽃을 해독(解毒), 청폐지해(淸肺止咳)에 이용
관련관상_설명 관상용 정원수로 식재
관련종_설명 진달래 꽃은 먹을 수 있어 '참꽃'이라고 부른 반면, 비슷하게 생긴 철쭉을 먹을 수 없어 '개꽃'이라고 불렀다. 진달래와 피를 나문 변종과 품종이 몇가지 자라는데 흰꽃이 피는 '흰진달래', 잎과 자루에 털이 있는 '털진달래', 잎이 넓은 '왕진달래', 잎 표면에 돌기가 있고 윤기가 나는 '반들 진달래', 잎이 넓은 '왕진달래', 열매가 가늘고 길며 한라산에서 자라는 '한라산 진달래'가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SE000006336
http://lod.nl.go.kr/resource/KMU000063151
http://lod.nl.go.kr/resource/KMO200605747
http://lod.nl.go.kr/resource/KMO200428642
http://lod.nl.go.kr/resource/KMU000038364
http://lod.nl.go.kr/resource/KMO000060261
http://lod.nl.go.kr/resource/KJU201108299
http://lod.nl.go.kr/resource/KMU000098893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7570
http://lod.nl.go.kr/resource/KMU000107567
http://lod.nl.go.kr/resource/KMO200018439
http://lod.nl.go.kr/resource/KMU000031701
http://lod.nl.go.kr/resource/KMO200029717
http://lod.nl.go.kr/resource/KSE200601611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1343
http://lod.nl.go.kr/resource/KMU200339995
http://lod.nl.go.kr/resource/KMU000084267
http://lod.nl.go.kr/resource/KMU000051148
http://lod.nl.go.kr/resource/KMU000046750
http://lod.nl.go.kr/resource/KMO198202900
http://lod.nl.go.kr/resource/KJU200604742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Rhododendron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이 6~10mm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relatedEnvironmentalResourceDesc 진달래는 척박한 토양에서 자라며 특별히 산성토양을 좋아하는 진달래는 울창한 활엽수림이 파괴되면 소나무가 등장하고 그 조각난 숲속에서 진달래가 자라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진달래가 유난히 많았던 이유는 산이 그만큼 헐벗고 척박했다는 증거이다.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상이고 점첨두,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4-7㎝ × 1.5-2.5㎝로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비늘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털이 발달하였고, 잎자루 길이는 6-10mm이다.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이고 길이 2cm로 11월에 성숙한다. 꽃은 3월 말-4월 말 개화하며 잎보다 먼저 피고, 꽃부리는 벌어진 깔때기모양이고 지름이 3-4.5cm로 보랏빛의 붉은색 또는 연한 붉은색이고, 겉에 잔털이 있다. 줄기는 연한 갈색으로 비늘조각이 존재한다.
no_christenerName Turcz.
no_specificEpithet mucronulatum
no_reviewer
label 진달래@ko
ゲンカイツツジ@ja
Korean Rhodo-dendron@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