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モンゴリナラ@ja
Mongolian Oak@en
신갈나무@ko
nature:Quercus (nature:Quercus)  관련 생물종 
nature:Fagaceae (nature:Fagaceae)  관련 생물종 
nature:Fagales (nature:Fag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암회색
꽃색 황적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높이 30m
잎자루 false
학명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물신갈나무@ko
재라리나무@ko
물갈나무@ko
털물신갈나무@ko
물가리나무@ko
돌참나무@ko
만주신갈나무@ko
털물갈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옛날 짚신 밑창으로 깔거나 짚신에 구멍이 나거나 닳았을 때 신갈나무 잎을 사용했다.
관련음식_설명 도토리를 햇볕에 말려서 가루를 낸 뒤 죽처럼 쑤어 굳혀서 묵을 만들어 먹는다.
관련역사_설명 신라시대의 대부분의 숯은 참나무로 만들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연기가 적게나는 참나무 숯으로 밥을 지어 경주의 거리에는 연기가 나지 않았다고 한다.
관련산업_설명 연기가 잘 나지 않는 참나무 숯을 만드는데 사용했다.
관련약재_설명 신갈나무 껍질을 이습(利濕), 청열해독(淸熱解毒)에 이용
관련관상_설명 외국에서는 가로수, 공원 및 조경 풍치수 대상으로 꼽고 있다.
관련종_설명 참나무 속의 여러나무 중 하나로 비교적 높은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 소나무 다름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수종이다. 생태적으로 경쟁관계에 있는 소나무 숲의 쇠퇴와 함께 앞으로 그 분포지역이 더 확대될 전망이다. 잎모양이 떡갈나무와 유사해 혼동하기 쉽다. 보통 잎의 크기와 모양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떡갈나무는 길이가 5-42cm 인 반면 신갈나무는 7-20cm이며 잎가장자리의 물결모양이 작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Quercus
생태특징 100~1,800m의 산지
관련생물종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relatedEnvironmentalResourceDesc 먹이와 은신처 제공을 통해 야생동물을 위한 서식환경 조성.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이나 가지 끝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도란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7~20cm, 나비 4~10c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점차 좁아져 귀모양을 하며 파상의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짧다. 꽃은 자웅일가로 수꽃이삭은 드리우며 암꽃이삭은 1~3화씩 나며 6월에 핀다. 열매는 견과로 장 타원형이며 각두는 반구형으로 9월에 성숙한다. 줄기의 수피는 암회색이며 소지는 암회갈색이고 동아는 난형이다.
foaf_depiction
no_christenerName Fisch. ex Ledeb.
no_specificEpithet mongolica
no_reviewer
label 신갈나무@ko
Mongolian Oak@en
モンゴリナラ@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