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カシワ@ja
떡갈나무@ko
Daimyo Oak@en
nature:Quercus (nature:Quercus)  관련 생물종 
nature:Fagaceae (nature:Fagaceae)  관련 생물종 
nature:Fagales (nature:Fag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회갈색
꽃색 녹황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레드리스트
높이 20m
잎자루 false
학명 Quercus dentata Thunb.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선떡갈나무@ko
가랑잎나무@ko
왕떡갈@ko
참풀나무@ko
가락나무@ko
가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우리 조상들은 새로 난 떡갈나무 잎으로 떡을 싸서 쪄 먹었다. 그래서 떡갈이란 이름이 붙었다. 두터운 잎의 뒷면에 갈색 털이 밀생하고 있어 떡이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였고, 도특한 향도 있다.
관련음식_설명 열매는 도토리라고 하여 옛날부터 구황음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도토리로 만든 도토리묵은 지금도 널리 먹고 있는 민속음식이다. 이외에도 엿, 국수, 떡, 빈대떡 등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을수 있다. 잎은 쪄서 말린다음 떡을 싸는데 사용했다. 특히 일본으로 수출되어 단오날 명절음식인 일본 떡을 싸는 재료로 쓰였다.
관련산업_설명 목질이 단단하므로 용재와 신탄재로 사용하고, 나무 껍질은 타닌 함량이 많으므로 타닌 원료로 쓰이며, 잎은 떡을 싸는 데 쓰이므로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다.
관련약재_설명 나무 껍질을 삽장(澁腸), 지혈(止血), 해독소종(解毒消腫)에 이용 껍질을 거충(祛蟲), 제루(除漏), 삽오장(澁五臟)에 이용 가을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리어 껍질을 벗기고 알맹이를 가루로 만들어서 상수리와 마찬가지로 위장병, 설사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잎을 찧어 짜낸 즙을 여러가지 종기에 이용한다.
관련종_설명 떡갈나무와 유사한 식물은 신갈나무로 두 나무는 잎과 열매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구분한다. 떡갈나무와 신갈나무의 잎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떡갈나무의 잎자루 길이는 1~16mm, 신갈나무의 잎자루 길이는 1~13mm로 두 잎 모두 잎자루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떡갈나무 잎의 크기는 5~42cm로 참나무과 수목 중 가장 크고 두꺼우며, 잎 뒷면에 별모양의 갈색털이 있다. 반면 신갈나무 잎의 크기는 7~20cm이며, 떡갈나무보다 가장자리의 물결 모양이 작다. 떡갈나무와 신갈나무의 열매는 타원 모양으로 각두를 싸고 있는 포(苞)의 모양에 따라 구별된다. 떡갈나무의 각두는 짙은 갈색을 띠는 긴 줄 모양의 포에 싸여 있는 반면, 신갈나무의 각두를 싸고 있는 포(苞)는 우둘투둘한 비늘조각 모양이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JU200405101
http://lod.nl.go.kr/resource/KSE200600839
http://lod.nl.go.kr/resource/KSB201100060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Quercus
잎밑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어긋나기이고 가죽질이며 거꿀달걀형이고 둔두 귀형이 보통이지만 심장저, 원저를 거쳐 둔저인 것도 있으며 길이 5-42cm(보통 9-22cm), 나비 3.5-27cm(보통 5-17cm)로서 가장자리에 3-17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큰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양면에 갈색의 별모양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주맥 위에만 남으며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모가 남고 잎자루는 길이 1-16mm로서 갈색의 성모가 있다. 참나무과의 수목 중에서는 잎이 제일 크다. 견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7mm, 지름 7-19mm로서 깍정이이고 깊게 총포에 싸여 있는 반구형이고 비늘잎은 길며 뒤로 젖혀지고, 10월에 익는다. 열매를 곡실이라 하며, 껍질을 목골피(木骨皮)라 한다. 꽃은 암수한그루 또는 암수한꽃으로서 5월에 피고 수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암꽃차례는 위에서 곧추나와 몇개의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으며 꽃밥에 털이 있고 암꽃은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높이 20m, 지름 70cm에 달하며 가지는 굵고 넓게 퍼지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깊게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굵고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동아는 각추상(角錐狀) 달걀모양이고 털이 있다.
no_relatedDyeDesc 가죽 다루는데, 혹은 어망의 염색에 사용한다. 떡갈나무 껍질은 적룡피(赤龍皮)라고 하는데 이것을 삶은 물로 염색하면 카키색, 철 매염제를 쓰면 검정빛이되며, 크롬명반 매염제로는 붉은 다색으로 염색된다.
no_christenerName Thunb.
no_specificEpithet dentata
no_reviewer
label Daimyo Oak@en
떡갈나무@ko
カシワ@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