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Chinese Pear, Sand Pear@en
チョウセンヤマナシ@ja
산돌배@ko
nature:Pyrus (nature:Pyrus)  관련 생물종 
nature:Rosaceae (nature:Ros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osales (nature:Ros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흑갈색
꽃색 흰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높이 10m
천연기념물 408
519
잎자루 false
학명 Pyrus ussuriensis Maxim.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산돌배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와 영양 무창리 산돌배가 각각 천연기념물 제408호, 제519호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쌍전리 산돌배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산돌배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로 생물자원으로서의 보존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 자라온 나무로 문화적 가치도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관련음식_설명 열매(과실)은 식용 포도와 물컹한 배를 함께 짓이겨 즙을 내고, 생강즙과 흰색 꿀을 약간 넣어 오래 끓인 물에 섞고 식기를 기다렸다가 마시면 맛이 기가 막히게 좋다. 만약 차게 마시면 기침이 생기기 쉽다. 산포도와 풋배를 써도 된다. 전주에서는 배즙, 생강즙, 꿀 세가지를 섞어 전통 술 이강주(梨薑酒)를 제조하고 있다.
관련산업_설명 목재를 도구재, 기계재로 이용하고, 접목의 대목으로 이용
관련약재_설명 열매를 거어(祛瘀), 발독(拔毒)에 이용하고 과즙을 생진(生津), 성주(醒酒), 양심(凉心), 윤조(潤燥), 지갈(止渴), 청열(淸熱), 해독(解毒), 화담(化痰)에 이용 담, 기침, 변비, 이뇨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배즙에 생강즙과 꿀을 타서 마시면 담과 기침에는 특효약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종_설명 산에서 만날 수 있는 산돌배의 변종이 여럿 있는데, 전남 백운산에서 자라는 백운배, 잎이 타원형인 금강산 돌배, 여러곳에 털이 있는 남해배, 꽃의 크기가 더욱큰 문배, 열매에 햇볕이 닿으면 붉은 빛이 도는 취앙네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외에도 열매크기가 5-10센티에 달하는 돌배나무, 황해도 이남에서 볼 수 있는 콩배나무 등이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Pyrus
잎밑
관련생물종




















































































타입
잎_정단부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상 원형으로, 원저이고, 길이는 5-10cm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2-5cm이고, 털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3-4cm이며, 노란색으로 8-10월에 성숙한다. 꽃은 지름이 3-3.5cm이고, 5월에 백색으로 피며, 5-7개씩 편평꽃차례에 달리고, 작은꽃대의 길이는 1-2cm로, 털이 없고 꽃부리는 지름이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조각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퍼진다. 암술대 밑 부분에 털이 있다.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christenerName Maxim.
no_specificEpithet ussuriensis
no_reviewer
label チョウセンヤマナシ@ja
산돌배@ko
Chinese Pear, Sand Pea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