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Hardy Orange@en
탱자나무@ko
Trifoliate orange@en
nature:Poncirus (nature:Poncirus)  관련 생물종 
nature:Rutaceae (nature:Rut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utales (nature:Rut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편형하고 녹색을 띤다
꽃색 백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300~400
학명 Poncirus trifoliata (L. ) Raf.
가시유무 true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인천강화도 갑곶리의 탱자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된다. 정묘호란(1627) 때 외적을 막는 수단으로 강화도에 성을 쌓고 성 바깥쪽에 탱자나무를 심어서 외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한다. 이 탱자나무는 그 때 심은 것이 살아남은 것으로 추측된다. 강화도는 탱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어서 탱자나무를 처음 심었을 때 조정에서는 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자세하게 보고하게 하였다고 한다.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는 우리 조상들이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심은 국토방위의 유물로서 역사성을 지니며 탱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방 한계선인 강화도에 자라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다.
관련음식_설명 열매껍질을 말려서 물을 끓여 먹으면 감기에 좋다.
관련역사_설명 속명 Poncirus는 귤에 대한 프랑스어 poncire에서 유래되었다.
관련산업_설명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 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탱자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형 간염 치료제, 탱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항알알레르기용 조성물, 탱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등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탱자나무의 덜 익은 열매를 지실이라 한다. 완숙된 것을 지각이라고 한다. 지실은 소화불량, 복부창만, 트림 등에 기의 순행을 강력하게 이끌면서 치료하고 소화장애로 명치끝이 그들먹하고 답답하며 식욕이 떨어지고 정신과 몸이 피곤한 증상에 쓰인다. 지각은 지실보다 작용이 완만하여 복부가 팽창된 증상, 위염으로 붓고 소화가 안 되며 통증을 호소할 때 쓴다.
관련관상_설명 줄기가 튼튼하고 재질이 단단하며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오래전에 남부지역에서 울타리용으로 많이 쓰던 나무이다. 탱자나무는 수세가 좋아 밀식에 강하며 노란 열매가 아름다워 월동이 가능한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정원수 또는 생울타리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노란 열매는 약용으로 쓰며 묘목은 유자나무나 감귤나무의 대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생울타리 또는 정원수로 이용할 때 처음에 심은 다음 활착할 때까지 물 관리에 유의한다. 이후에는 특별한 관리 없이도 치밀하게 울타리를 형성하며 잘 자란다.
관련종_설명 거북밀깍지벌레Ceroplastes japonica, 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 담흑부전나비Niphanda fusca, 루비깍지벌레Ceroplastes rubbens, 배나무흰깍지벌레Lopholeucaspis japonoca,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 뿔밀깍지벌레Ceroplastes ceriferus, 샌호제깍지벌레Comstocaspis perniciosa, 알락하늘소Anoplophora malaslaca, 이세리아깍지벌레lcerya purchasi, 탱자소리진딧물Toxoptera aurantii, 호랑나비Papillio xuthus
관련향신료_설명 꽃에는 리모넨(limonen), 리나룰(linalool)등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열매에는 나린긴(narinngin), 폰시린(poncirin)등의 정유가 들어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Ramification
no_fruitDesc 둥근 구형,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난다
관련생물종









no_seedDesc 긴 타원형 1~1.3cm으로 황색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Poncirus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25mm정도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relatedEnvironmentalResourceDesc 탱자나무 추출물은 사용이 제한적인 화학 방제와는 달리 버섯에 대해 약해가 없으므로 처리시기에 제한을 받지 않은 방제가 가능하며 24시간 안에 버섯 파리에 대한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친환경적인 생물학적 방제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마주나기하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5㎝ 정도의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9~15cm로서 양면에 털이 많으며 1~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정열편은 난형이며 짧은 예첨두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측열편은 난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9~19mm, 너비 1mm 정도로서 선형이고 납작한 사각형이며 가시 같은 털이 다소 있고 까끄라기는 3~4개로서 길이 3~4mm이다. 노란색 꽃이 핀다. 총포편은 8~10개이며 길이 3~6.5mm로서 선형 예두이고 바깥쪽 꽃받침의 인편은 길이 5~6mm이며 설상화는 0~5개이고 열매를 맺지 못하며 길이 55mm, 너비 2.5~3mm로서 황색이다.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다소 네모가 지며 굽은 잔털이 약간 있다.
no_christenerName (L. ) Raf.
no_specificEpithet trifoliata
잎종류
no_reviewer
label 탱자나무@ko
Poncirus trifoliata (L. ) Raf.@en
Trifoliate orange@en
Hardy Orang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