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며느리배꼽@ko
Mile-a-Minute Vine@en
nature:Persicaria (nature:Persicaria)  관련 생물종 
nature:Polygonaceae (nature:Polygonaceae)  관련 생물종 
nature:Polygonales (nature:Polygon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밑으로 난 가시가 있다
꽃색 녹백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200
학명 Persicaria perfoliata (L. ) H. Gross
가시유무 true
지방명 참가시덩굴여뀌@ko
며누리배꼽@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턱잎 안에 열매가 들어 있는 모양이 배꼽을 닮았다는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북한에서는 참가시덩굴여뀌라고 부른다.
관련음식_설명 봄철에 새싹 잎을 날로 먹거나 데쳐 먹는다. 신맛이 난다.
관련산업_설명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며느리배꼽을 이용한 기능성 알칼리성 무기질 음료의 제조방법.
관련약재_설명 민간에서는 줄기와 잎을 달여서 물을 마시면 설사를 멈추게 하는 데 이용하였다. 며느리배꼽의 지상부를 강판귀라 한다. 이수작용이 있어서 전신이 붓고 소변을 잘못 보는 증상에 효력이 있다. 전염성황달형간염, 설사, 이질에 쓰이며 백일해, 피부가 벌겋게 되면서 달아오르고 열이 나는 증상 및 습진, 옴, 버짐에 효과가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기타정보
기타
no_hasRamifica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Persicaria
no_fruitDesc 난상구형, 광채가 많은 흑색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다
no_seedDesc 구형
타입
잎_정단부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이 잎 밑에서 약간 올라 붙어 있어 배꼽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3-6cm, 폭 3-8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엽맥 위에 거슬러 난 잔 가시가 있다. 탁엽은 잎모양으로 푸르고 지름 2-3cm의 둥굴고 얕은 깔때기형이며 줄기를 감싼다. 꽃은 7-9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꼭대기나 엽액의 짧은 수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1-2cm로서 밑부분을 접시같이 생긴 엽상포가 받치고 있다. 꽃받침은 연한 녹색이 돌며 길이 3-4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짧다. 자방은 둥글고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수과는 길이와 지름이 3mm이고 난상 구형이며 약간 세모가 지고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육질화된 하늘색 꽃받침으로 싸여 있어 장과처럼 보이며 8-9월에 익는다. 길이 2m정도 뻗으며 엽병과 더불어 밑으로 난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를 걸고 자라 오른다.
잎_가장자리
no_christenerName (L. ) H. Gross
no_specificEpithet perfoliata
no_hasFlowerType
잎종류
no_reviewer
label Mile-a-Minute Vine@en
며느리배꼽@ko
Persicaria perfoliata (L. ) H. Gros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