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혹쐐기풀@ko
Bulbiferous woodnettle@en
nature:Laportea (nature:Laportea)  관련 생물종 
nature:Urticaceae (nature:Urticaceae)  관련 생물종 
nature:Urticales (nature:Urtic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원줄기는 곧게 자란다, 줄기는 능각이 지며 자모가 있다
꽃색 녹색, 연한 녹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40~70
학명 Laportea bulbifera (Siebold & Zucc. ) Wedd.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알쐐기풀@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역사_설명 속명Laportea는 프랑스의 유명한 곤충학자 라포르테F. L. de Laporte를 기리기 위해 붙였고, 종소명 bulbifera는 비늘줄기가 있다는 뜻이다. 우리 이름인 혹쐐기풀은 살눈을 혹으로 표현하여 혹을 가지고 있는 쐐기풀이란 뜻이다.
관련산업_설명 혹쐐기풀에서 추출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에서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해 내는 데 성공하여 생약물질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관련약재_설명 생약명은 애마, 야녹마라고 한다. 풍증을 없애주고 혈액 순환을 도우며 이뇨와 부기를 가시게 하는 효능이 있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를 비롯하여 고혈압과 관절엽, 풍이나 습기로 인해 팔다리의 근육이 굳어지면서 감각이 없어지는 증세를 치료하기 위한 약으로 쓰인다. 또한 종기를 다스리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관련종_설명 뿌리의 안쪽 부분을 말린 후 달여 마시면 위장, 이뇨작용에 좋고 입 냄새를 잡아준다. 열매를 먹으면 치질에 좋다. 뿌리를 조금 넣어 식혜를 만들어 먹는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기타정보
기타
no_hasFlowerStalk 털이 있는 것
no_hasRamification
no_fruitDesc 비스듬한 원반모양, 편평하고 길이 2.5~3mm 짧은 대가 있다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Laportea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엽병이 길다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writer

일반특징 잎에 자모(刺毛)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8-15cm, 나비 4-7cm로서 가장자리에 끝이 뾰족하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양면, 특히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녹색이고 7-9월에 핀다. 웅화서는 아래쪽 엽액에서 나오는 원추화서이며 길이 4-7cm이고 수꽃은 4-5개씩의 꽃받침잎과 수술이 있으며 꽃가루는 백색이다. 자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정생하고 한쪽으로 가지를 치며 화서축과 더불어 길이 7-15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암꽃의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연한 녹색이며 2개는 꽃이 핀 다음 크게 자라서 길이가 2.5mm에 달한다. 암술대는 선형이다. 과실은 수과로서 비스듬한 원반형이고 편평하며 길이 2.5-3mm이고 짧은 대가 있다. 원줄기는 높이 40-70cm로서 곧게 자라고 능각이 지며 자모(刺毛)가 있다.
no_christenerName (Siebold & Zucc.) Wedd.
no_specificEpithet bulbifera
잎종류
no_reviewer
label 혹쐐기풀@ko
Bulbiferous woodnettle@en
Laportea bulbifera (Siebold & Zucc. ) Wed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