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lettuce@en
씀바귀@ko
nature:Ixeridium (nature:Ixeridium)  관련 생물종 
nature:Compositae (nature:Compositae)  관련 생물종 
nature:Campanulales (nature:Campanulales)  관련 생물종 
nature:Dicotyledoneae (nature:Dicotyledoneae)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줄기는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백색 유즙이 있어 쓴맛이 강하다.
꽃색 노란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뿌리형태
높이 25~50
학명 Ixeridium dentatum (Thunb. ) Tzvelev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흰씀바귀@ko
꽃씀바귀@ko
씸베나물@ko
싸랑부리@ko
씀바기@ko
쓴귀물@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씀바귀는 농가월령가 이월령에 "산채는 일렀으니 돌나물을 캐어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라고 하였듯이 이른 봄에 나오는 봄나물의 하나이다. 씀바귀나물은 ' 외갓집 문지방이 높아야 잘 먹을 수 있다. 라고 할 만큼 귀하게 여긴 나물이다. 뿌리나 어 잎을 먹을 수 있는데 서울과 인천에서는 주로 뿌리를 무쳐서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
관련음식_설명 씀바귀를 데쳐 물에 담가 쓴맛을 없앤 후 씀바귀나물을 만들어 먹는다. 삭힌 씀바귀로 사찰에서 많이 담가 먹는 씀바귀김치, 씀바귀겉절이, 씀바귀물김치등을 만들어먹는다.
관련역사_설명 중국춘추시대의 오래된 시집인 시경(詩經) 대아大雅에서는 ?(씀바귀 도) 의 맛이 飴와 같다고 하였다.
관련산업_설명 기능성 씀바귀 녹차의 제조 방법, 씀바귀 또는 씀바귀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궤양성 대장염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기능성 씀바귀 김치 제조방법, 기능성 씀바귀즙 음료의 제조 방법, 기능성 씀바귀 나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가 출원되었다.
관련약재_설명 씀바귀의 지상부를 고채라고 한다. 이질에 유효하며 만성기관지염에는 대추와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부인의 유방염에는 생것을 짓찧어서 붙이고 구내염에는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마신다.
관련관상_설명 공터나 도로변 척박지 등 흙이 그냥 노출된 공간이면 어디든지 잘 어울린다. 특히 자라는 속도가 빠르고 지상부에 줄기들끼리 매트형성을 잘하며 빨리 피복하게 되어 지피용으로 우수하여 경사진 곳의 토양 유실방지용으로도 적당하다. 번식속도가 빠르므로 다른 식물과의 경합이 우려되지 않는 곳이 좋다.
관련종_설명 대만수염진딧물Uroleucon formosanum, 씀바귀볼록진딧물Hyperomyzus carduellinus, 씀바귀혹진딧물Myczus lactucidola
관련향신료_설명 씀바귀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93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정유 성분 중에서 Hexadecanoic acid(33.73%), (Z, Z, Z)-9, 12, 15-octadecartrienoic acid(18.59%), 6, 10, 14- trimethyl-2-pentadecadone(10.39%), phyto(5.21%)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no_hasRamification
no_fruitDesc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연한 오갈색이다.
관련생물종
no_seedDesc 종자에 붙은 갓털은 연한 갈색이다.
잎_정단부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MU000027417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Ixeridium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엽병은 줄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WinterBud
no_relatedEnvironmentalResourceDesc 씀바귀, 쑥, 산초, 멀구슬나무 추출액으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인체에는 이상이 없으면서도 해충에 대해 우수한 살충 및 기피효과를 나타내어 농약, 방향제 제조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씀바귀를 포함한 식물성 추출물로부터 친환경 제초제가 개발되어 땅을 비옥하게 하고 땅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보존할 뿐 하니라 화학적 성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초효과는 뚜렷한 반면 농작물의 수확량 감소현상은 전혀 나타나지 않아 우수한 재배효과를 볼 수 있다.
no_writer

일반특징 근엽은 도피침상 장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 엽병으로 이어지며 중부 이하에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결각이 약간 생긴다. 경엽은 2~3개로 피침형 또는 장 타원상 피침형이고 기부가 귀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꽃은 5∼7월에 황색으로 피고 지름 15mm 정도의 두화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7~9mm, 나비 1~3mm이고 외편은 5~6개이며 소화는 5~7개이다. 수과는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연한 오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백색 유즙이 있어 쓴맛이 강하다.
no_relatedDyeDesc 6월에 전체 개체를 끓여 염액을 낸다. 염액은 짙은 밤색으로 추출되나 염색은 짙게 되지는 않는다. 매염제는 특히 철에 대한 반응이 좋다.
no_christenerName (Thunb. ) Tzvelev
no_specificEpithet dentatum
no_reviewer
label lettuce@en
씀바귀@ko
Ixeridium dentatum (Thunb. ) Tzvele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