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オオサンザシ@ja
Large Chinese Hawthorn@en
산사나무@ko
nature:Crataegus (nature:Crataegus)  관련 생물종 
nature:Rosaceae (nature:Rosaceae)  관련 생물종 
nature:Rosales (nature:Ros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회색
꽃색 백색 또는 담홍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높이 6m
천연기념물 506
잎자루 true
학명 Crataegus pinnatifida Bunge
가시유무 true
지방명 아그배나무@ko
찔광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역사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순조
관련문화_설명 천연기념물 제506호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는 높이 9.0m, 가슴높이 둘레 2.0m에 나이는 150년으로 추정되는 노거수(老巨樹)이다. 한 아름이 훨씬 넘는 큰 규모에 줄기의 골 모습도 특징적이고 수형 또한 아름다워 우리나라 산사나무를 대표하며, 엄귀비의 무덤 앞에 위치하는 문화적 가치도 크다. 산사나무는 서북쪽에서 생산되는 것이 좋다. 오늘날 연(燕)지방에서 나는 것을 사오는데 모두 커서 동쪽 지방에서 나는 것의 몇 배 정도이다. 한양의 동문 밖 안암동에 일종의 산사가 있는데 6월에 익으니 또한 기이한 품종이다. 마땅히 씨를 취하여 널리 심어야 할 것이다. 강원도 원성군 신림리에는 산사나무는 가슴둘레가 1미터에 이르며 300살이 넘은 노인나무로 별명이 붙은 큰 산사나무가 자란다.
관련음식_설명 열매를 산사자라하고 술을 담그는 재료로 이용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생식, 요리(화채), 또는 사탕에 절여서 먹는다. 늙은 닭의 질긴 살을 삶을 때 산사자를 넣으면 잘 무르고, 생선을 먹고 중독되었을 때 해독제로 이용했다고 전해진다. 이런 문화는 일본까지 전파되어 생선요리를 많이하는 일본에 가져가 어약원(御藥園)에서 재배했다고 전해진다.
관련역사_설명 순조 원년(1800)에 임금의 몸에 발진이 생기자 인동 두 돈쭝과 산사자 한 돈쭝을 차로 만들어 들였고, 순조 2년(1802)에는 임금과 왕후에게 홍역의 징후가 있어 산사자를 가미한 '가미승갈탕'을 올렸고, 중궁전에는 산사차와 함께 '가미강활산'을 올렸다.
관련약재_설명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고 내려가도록 하며 비(脾)를 건강하고 제 역할을 잘하도록 만드는 치료에 이용
관련관상_설명 정원수
관련종_설명 중국의 산사수(山査樹)에서 유래 했다. 서양과 유럽에도 유사한 종이 100여종에 이른다. 우리나라 산사나무는 기본종외에 잎의 모양에 따라 넓은잎산사, 좁은잎산사, 가새잎산사, 털산사등 여러 변종이 분포한다. 서양에선 산사나무를 '벼락을 막는다'는 의미를 지닌 호손(Hawthorn)이라고 부른다. 나무가 벼락을 막아줄 것으로 믿어 밭의 울타리로 많이 심어졌고, 또 예수는 이나무 가시에 찔려 피를 흘렸기 때문에 이나무 가지를 옷에 꽂으면 벼락을 피할 수 있고, 집안에 꽂아두면 화를 면할 수 있다는 신앙이 전해지고 있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no_hasRelatedBook http://lod.nl.go.kr/resource/KMO201126923
foaf_depic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Crataegus
생태특징 산지에서 자란다. 자갈 섞인 밭이나 개간지에서도 생육이 좋다.내한성과 내조성은 강하나 내음성이 약하여 햇빛을 좋아하며, 사질양토로서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번성한다.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이 2~6cm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삼각상 난형 또는 능상 난형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5-10㎝로서 5-9개의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밑부분의 열편은 흔히 중륵까지 갈라지고 양면의 중륵과 측맥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6cm이며 탁엽은 크고 톱니가 있다. 꽃은 잎이 핀 다음 4-5월에 피고 지름 1.8㎝로서 백색 또는 담홍색이며 산방화서는 지름 5-8cm로서 털이 있고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잎과 더불어 각 5개이고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홍색이다. 배꽃같은 작은 꽃이 몇 송이씩 뭉쳐서 핀다.열매의 이과(梨果)는 둥글고 지름 1.5cm로서 백색 반점이 있으며 9-10월에 빨갛게 혹은 노랗게 익는다. 열매가 많이 달려 꽃 못지 않게 아름답다.한 개의 이과안에 보통 3-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no_christenerName Bunge
no_specificEpithet pinnatifida
no_reviewer
label オオサンザシ@ja
Large Chinese Hawthorn@en
산사나무@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