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층층나무@ko
ミズキ@ja
Giant Dogwood@en
nature:Cornus (nature:Cornus)  관련 생물종 
nature:Cornaceae (nature:Cornaceae)  관련 생물종 
nature:Cornales (nature:Corn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붉은색
꽃색 흰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20m
잎자루 true
학명 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꺼그렁나무@ko
말채나무@ko
물깨금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젓가락, 나막신, 양산자루, 지팡이 등을 만드는데 이용한다.
관련역사_설명 층층나무 속에 속하는 나무들은 영어로 'dogwood'라고 하는데 이 이름의 유래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옛날 영국에서 요리용 꼬치를 dag이라고 했는데 오늘날 dogwood라고 불리는 나무로 이것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고, 17세기 영국 식물하자 John Parkinson에 따르면 이나무의 열매는 사람이 먹을 수 없고 개나 먹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서 dogwood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관련산업_설명 종자에서 추출하는 기름은 윤활유와 비누를 만드는데 이용된다.
관련약재_설명 가지와 껍질을 중풍, 기침 위장병, 간질환, 소종지통(消腫止痛)에 이용한다.
관련관상_설명 정원수로 이용한다.
관련종_설명 층층나무 속에 속하는 나무 중 가장 큰 나무 이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foaf_depic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Cornus
생태특징 토심이 깊고 습기가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중용수로서 추위와 공해에 강하나 내조성은 약해서 바닷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고 산록 및 계곡부의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이 3~5cm로 붉은빛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5~12cm, 너비 3~8cm로 표면은 녹색이며 어릴때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으로서 잔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측맥은 5-10쌍이며 엽병은 길이 3~5cm로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화서는 지름 5-12㎝로서 햇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털이 있거나 없고 화경은 길이 1-3cm이며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며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통과 더불어 겉에는 털이 밀생하고 수술대는 길이 5mm이고 꽃밥은 정자형(丁字形)으로 달리며 꽃잎과 수술이 각각 4개씩이며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지름 0.6~0.7cm로써 9-10월에 벽흑색(碧黑色)으로 익는데, 새들이 즐겨 먹으며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얕게 세로로 홈이 져서 터지며 가지는 계단상으로 윤생하며 층을 형성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붉은빛이 돈으며 어린줄기와 가지는 붉은 빛의 윤채가 나고 피목이 산재 하며 낙엽후 소지는 겨울동안 붉은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no_christenerName Hemsl. ex Prain
no_specificEpithet controversa
no_reviewer
label Giant Dogwood@en
ミズキ@ja
층층나무@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