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Japanese Hackberry@en
팽나무@ko
エノキ@ja
nature:Celtis (nature:Celtis)  관련 생물종 
nature:Ulmaceae (nature:Ulmaceae)  관련 생물종 
nature:Urticales (nature:Urtic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회색
꽃색 녹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뿌리형태
높이 20m
천연기념물 494
잎자루 true
학명 Celtis sinensis Pers.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동글팽나무@ko
자주팽나무@ko
둥근팽나무@ko
매태나무@ko
섬팽나무@ko
평나무@ko
퐁낭@ko
폭나무@ko
달주나무@ko
개팽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소나무 석송령처럼 팽나무 중에도 유일하게 논밭의 소유주가 되어 등기부에 오른 나무가 있다. 경남 고성 삼락리 108-2번지를 본적과 현주소로 하고 있는 이나무를 마을 사람들은 수호신으로 숭상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나무의 이름을 금목신(金木神)이라 짓고 동네 논 400평을 이나무 이름으로 등기했으며, 여기서 나는 곡식으로 매년 동제를 지낸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무슨일 이든 이 나무에 제사를 지내지 않으면 재앙이 생긴다고 믿었다. 일진왜란 당시 거북선이 마을 앞바다에 정박하고 있다가 출정하면서도 이 나무에 제사를 지내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관련음식_설명 어린 잎을 봄에 채취하여 생식도 하고 나물로도 쓴다. 나물로 쓸 때는 삶은 후 물을 몇번이고 우리어 잡맛을 없앤다. 열매는 8~9월에 채취하여 생식하고 식용유를 짜기도 한다.
관련역사_설명 200여 년전 평택군 도대리는 박씨가 많이 모여 사는 동네였다. 어느날 한 중이 시주를 권하는데 박씨들은 시주는 커녕 오히려 봉변을 주고 내쫓았다. 돌아가는 길에 중은 동네에 있는 산의 허리를 자르고 산속에 있는 팽나무를 옮겨 마을에 심으면 마을이 잘된다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박씨들은 자신들이 한 일은 생각지도 않고 잘살려는 마음에 그 중의 말대로 했는데 이는 저주였던지 박씨 마을은 망해 버리고 말았다. 이때 옮겨 심은 나무가 아직도 이마을에 살아 있다.
관련산업_설명 건축, 기구, 기계, 농사용구 자루 등으로 이용
관련약재_설명 껍질은 박유지(樸楡枝)또는 박수피(樸樹皮)라고 하는데 조경(調經)에 이용한다. 껍질에 스카톨, 인돌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진통, 소종에 효능이 있어 혈액 순환을 빠르게 하고 요통, 관절염, 월경불순, 심계 항진, 습진, 종기를 다스리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관련관상_설명 정자목으로 이용 부산 구포동 소재 천연기념물 제 309호 팽나무는 수령이 500년 이상되는 거목이다. 마을의 당산목으로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이나무 아래서 매년 대보름이면 동민가운데 가장 정결한 이를 제주로 뽑아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낸다. 이나무의 신통력으로 나무 아래는 당집이 두채나 있다.
관련종_설명 팽나무에는 노거수가 많은데 영호남의 곡창지대 때문에 이팝나무처럼 팽나무로도 한해의 농사를 점쳤다. 발아가 양호하면 풍년이고, 봄에 일제히 싹이 트면 풍년이며, 위쪽의 잎부터 싹트기 시작하면 풍년이고, 동쪽에서 먼저 싹이 나면 동쪽이 풍년, 서쪽에서 먼저 싹이 나면 서쪽이 풍년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흉년이 든다는 것이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Celtis
생태특징 양지와 음지를 가리지 않으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성장이 빠른 편이고 평탄하고 깊은 땅을 좋아하며 상당히 습한 곳에서도 견디고 내한성과 내공해성,내염성 등이 강하고 적응능력이 뛰어난 수종이다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이 2~12mm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고 길이 4-11cm로서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좌우가 약간 비틀어져 있다. 상반부에 거치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표면이 거칠며 측맥은 3~4쌍이고 엽병은 길이 2-12mm로서 털이 있으며 꽃은 잡성화로서 4-5월에 피고 수꽃은 새가지의 기부 엽액에서 나오는 취산화서에 달리며 수술은 4개이고 암꽃은 새가지 윗부분에 1-3개씩 달리고 수꽃은 하부에 맺힌다.4개의 화피열편, 4개의 작은 수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 뒤로 젖혀지며 핵과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노란색-붉은색-홍갈색으로 변하며 10월에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먹을 수 있고 과경은 길이 6-15mm로서 잔털이 있다.
no_christenerName Pers.
no_specificEpithet sinensis
no_reviewer
label 팽나무@ko
エノキ@ja
Japanese Hackberry@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