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クリ@ja
Japanese Chestnut@en
밤나무@ko
nature:Castanea (nature:Castanea)  관련 생물종 
nature:Fagaceae (nature:Fagaceae)  관련 생물종 
nature:Fagales (nature:Fag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암갈색 또는 암회색
꽃색 흰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차례
높이 15m
천연기념물 498
잎자루 true
학명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참밤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문화_설명 천연기념물 제498호 평창 운교리 밤나무는 옛날 ‘명성을 떨칠 정도로 좋다’하여 영명자(榮鳴玆)라 부르며 3∼4가마씩 수확하였고 현재까지 알려진 밤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되었을 뿐 아니라 생육이 양호하여 재래종 과일나무로서의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원효성사의 집이 본래 이 골짜기 서남쪽에 있었다. 어머니가 임신하여 만삭이 되었을 때 마침 이 골짜기를 지나다가 밤나무 아래에서 갑자기 산기를 느껴 집에까지 돌아갈 여유가 없었다. 남편의 옷을 나무에 걸어 놓고 그 가운데 누워 해산했으므로 그 나무를 사라율(紗羅栗)이라 불렀다. 밤나무 목재는 단단하고 잘 썩지 않는다. 그리고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사당의 위패, 제상 등 조상을 숭배하는 기구를 만드는 재료로 많이 쓰였다.
관련음식_설명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생으로 먹거나 구워서, 말리거나 쪄서 먹고, 또 과자나 요리에 넣어 먹는다.
관련역사_설명 약밤은 중국 원산으로 함종율, 성천율이라고 부르지만 예전 대동강 주변에 많이 심어 평양밤으로 더 유명하다. 밤껍질이 잘 벗겨지고 달고 맛있어 꿀맛이었다.
관련산업_설명 밤나무는 재질이 단단하고 탄성이 커서 승차감이 좋아져 철도 침목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 목재에 탄닌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잘 썩지 않는다. 조각 등으로도 쓰임
관련약재_설명 열매를 지혈(止血), 보신강근(補腎强筋), 익기건비(益氣健脾), 활혈소종(活血消腫)에 이용 꽃을 6월에 따서 그늘에 말려 연주창에 사용하고, 열매는 9월에 따서 기운을 돋구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콩팥을 보하는 데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밤송이를 달여서 단독종을 씻으면 종기가 가신다. 또 검게 태워 참기름에 이겨 바르면 탈모 방지의 역할도 한다.
관련종_설명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미국 동부에 걸쳐 널리 분포하여 이지역 사람들에게 식용으로 오래전 부터 사용되어왔다. 미국동부의 밤나무는 1900년대 초 일본으로부터 전파된 것으로 추청되는 시듦병으로 1940년대 거의 전멸하였다. 이후 미 동부의 밤나무들은 관목수준까지는 자라지만 그 이후엔 다시 이병에 걸려 죽는 일이 되풀이 되고 있다.
관련향신료_설명 꽃에서 채밀한 꿀에서는 밤꽃 고유의 향기가 난다.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dbpedia_hasPhotoCollection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Castanea
잎밑

no_petioleDescription 길이 1~1.5cm로서 털이 있음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어긋나기이며 측지에서는 2줄로 배열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며 길이는 10-20cm로서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17-25쌍의 측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달리며 측맥 끝이 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이 밀포한다. 잎자루는 길이 1-1.5cm로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 겉열매껍질에 가시가 있고, 내피 잘 벗겨지지 않으며 견과는, 3개 또는 1개식 들어 있으며 지름이 2.5-4cm이고, 좌가 밑부분을 전부 차지하며, 부분에 백색 털이 있으며 다갈색으로 익는다. 9-10월에 성숙하고, 익으면 벌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백색이며 6월에 피고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는 꼬리모양꽃차례에 많이 달린다. 수꽃차례는 유백색이고 암꽃은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달리고 포로 싸인다. 높이 15m, 지름 1m로서 나무껍질이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일년생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으로서 단모 또는 성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no_christenerName Siebold & Zucc.
no_specificEpithet crenata
no_reviewer
label 밤나무@ko
Japanese Chestnut@en
クリ@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