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기본 정보
일반명칭 박달나무@ko
Schmidt Birch@en
オノオレカンバ@ja
nature:Betula (nature:Betula)  관련 생물종 
nature:Betulaceae (nature:Betulaceae)  관련 생물종 
nature:Fagales (nature:Fagales)  관련 생물종 
nature:Magnoliopsida (nature:Magnoliopsida)  관련 생물종 
nature:Angiospermae (nature:Angiospermae)  관련 생물종 
nature:Plantae (nature:Plantae)  관련 생물종 
상세정보
상세 정보
줄기색 암회색
꽃색 수꽃은 황갈색, 암꽃은 적황색
개화기
결실기
열매형태
생육상
서식지
꽃차례
잎모양
잎맥
잎차례
높이 30m
잎자루 false
학명 Betula schmidtii Regel
가시유무 false
지방명 단목(檀木)@ko
박달@ko
묏박달나무@ko
참박달나무@ko
연관정보
연관 정보
관련역사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고종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유물_고려사
http://lod.koreanhistory.or.kr/resources/인명_김취려
관련문화_설명 빨래방망이, 다듬이 방망이, 디딜방아 공이, 절구공이, 얼레빗, 육모방망이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드는데 이용
관련역사_설명 환웅이 3천 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태백산(지금의 묘향산) 꼭대기 신단수(神檀樹) 아래로 내려왔다. 그 곳을 신시(神市)라 하고, 이 사람을 환웅천왕이라 했다. 바람의 신과 신의 신과 구름의 신을 거느리고 곡식, 생명, 질병, 형벌, 선악 등 인간세상의 360여 가지 일을 관장하며 세상을 다스렸다. - 여기의 신단수를 단(檀) 자의 의미에 따라 박달나무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음 <고려사>에 "고종 4년(1217) 김취려 등이 충주, 원주 사이로 거란군을 추격하다가 맥곡에서 교전하였으며 박달재까지 추격하여 크게 쳐부수었다."는 기록이 있다.
관련산업_설명 도끼가 부러질 정도로 재질이 강해 마차의 바퀴, 기구, 기계, 조각, 생활용품 등을 만드는 재료
관련약재_설명 어린 싹을 건위(健胃), 지통(止痛)에 이용
관련종_설명 삼국유사에 나오는 우리나라 건국설화 중 환웅이 웅녀와 혼인하고 아들을 보게해 달라고 빈 나무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갔다가 낙방한 젊은 선비 박달과 그를 기다리던 백운면 평동마을의 처녀 금봉이의 슬픈 사연이 깃든 고개이름.
관련정보
관련 정보
sameAs





rdfs_seeAlso


기타정보
기타
관련생물종



잎_정단부
잎_가장자리
foaf_depiction
no_hasFlowerType
no_hasGlobalDistribution


no_genericName Betula
생태특징 심산 또는 산간지의 산록부나 산복부의 양지 바른 적윤지 또는 다소 건조한 곳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은 강하나 내건성, 내음성은 약하며 양수로 산복이하의 노출된 곳에 천연하종발아가 되어 군집을 이루고, 해풍을 받는 바닷가에서는 생장이 좋지 않다.생장속도는 보통이며 50년생 일때 ha당 168㎥의 목재를 생산한다.
잎밑
타입
no_hasInternalDistribution













no_hasThumbnail
no_writer
일반특징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길이 4-8cm로서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측맥은 9-10쌍이며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뒷면은 지점이 있으며 맥위에 털이 있고 연녹색이며 전방을 향한다.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나 단지에서는 2개씩 무더기로 난다. 꽃은 5-6월에 피고 자웅일가화이며 수상화서로 달리고 웅화수는 가지 끝이 처지며 자화수는 위로 서고 원통형이며 길이가 2-3㎝이다. 열매는 길이 2-3cm로서 원통형이며 위를 향하고 실편의 열편은 좁으며 털이 있고 열매는 작은 견과로서 타원형이고 위로 향하여 달리며 좁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포린의 측편이 피침형이다. 줄기의 높이 30m, 지름 1m이고 곧게 자라며 수피는 암회색이고 유령시에는 벗겨지지 않지만 점차 수령이 더할수록 두껍고 작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소지는 털 또는 지점(脂點)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no_christenerName Regel
no_specificEpithet schmidtii
no_reviewer
label Schmidt Birch@en
박달나무@ko
オノオレカンバ@ja